(아주경제 강소영 기자) 중·일 양국 정부 차원의 ‘해빙’ 분위기 조성 노력에도 불구하고 양국 국민 감정은 더욱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지정학적으로 중심에 위치한 한국의 역할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홍콩 문회보(文匯報), 명보(明報)의 25일 보도에 따르면, 지난 주말 동안 중국 전역에서 대규모 반일시위가 이어졌다.
쓰촨(四川)성 더양(德陽)시에서 1000 여명의 시민이 반일시위에 참가했으며, 간쑤(甘肅)성 란저우(蘭州)시에서도 대학생이 주축이 된 2000여 명의 시위대가 집결해 격렬한 시위를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 밖에 산시(陝西)성 바오지(寶鷄), 장쑤(江蘇)성 난징(南京),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시 등 지방 10여 개 도시에서 반일시위가 벌어졌다.
일본에서도 우익단체를 중심으로 반중시위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 9월 댜오위다오(釣魚島) 문제로 중·일 양국이 첨예하게 대립할 때부터 현재까지 줄곧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의 관계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양국 충돌의 이면에 미국이 개입됐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한국도 중일 양국의 심각한 관계 악화에 대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과 함께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게 되면 동북아 지역에서 한국의 입장이 매우 애매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과 일본이라는 동북아 양대 축의 대립은 지역 평화와 안정에 위협이 될 수 있지만, 한국의 외교력을 발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세종연구소 국제정치경제 연구실 김성철 수석연구위원은 “한국이 양국 대립 중재에 힘쓰는 한 편, 동북아 지역에서 한국의 발언권을 높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김 수석연구위원은 다자간 협의체 구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은 회원국 간의 분쟁 해소를 위한 중재 역할을 훌륭히 해내고 있다”면서 “한국이 이 같은 분위기를 몰아 한·중·일 3자회담 혹은 미국도 참여하는 4자회담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중국과 일본, 미국 모두 한국을 자기편으로 만들고 싶어 한다”면서 “이제까지의 중립적 입장을 고수하면서,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주제로 한국이 4개국의 중재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haojizh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