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실채권 비율 및 잔액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자산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우리은행은 부실채권 규모가 경쟁 은행보다 최고 4배 이상 많아 인수합병(M&A)을 앞두고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감독원은 9월 말 현재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2.32%로 전분기 대비 0.38%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04년 3월 2.50%를 기록한 후 78개월 만에 최고치다.
부실채권 규모는 30조3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4조7000억원 급증했다.
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경기침체 여파로 관련 기업들이 수익성 악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영향을 미쳤다. 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건전성 분류 강화 등으로 잠재 부실을 적극 반영하고 있는 점도 부실채권 비율을 높이고 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이 3.19%로 전분기 대비 0.53%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3.80%)은 전분기보다 무려 0.75%포인트 급등했다.
반면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60%로 오름폭(0.10%포인트)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시중은행 중에는 우리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3.85%로 단연 높았다. 국민은행은 2.30%을 기록했으며 신한은행(1.77%), 하나은행(1.45%) 등은 모두 1%대에 머물렀다.
우리은행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6조6000억원으로 하나은행(1조4500억원)의 4배에 달했다.
지방은행의 경우 광주은행이 2.79%로 비교적 높았고, 특수은행 중에는 산업은행(4.17%)과 수협(4.60%)이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건설 및 부동산 PF 등 취약부분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크게 악화됐다"며 "다만 PF 대출 규모가 은행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에 불과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잠재 부실을 조기에 인식해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감독을 강화하고 은행별로 연말까지 부실채권 감축 계획을 마련토록 지도할 방침이다.
gggtttppp@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