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재무부와 중앙은행이 헤알화 환율 절상에 대한 대응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일간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 등 브라질 언론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재무부와 중앙은행은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 조치로 달러화 유입 증가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최소한 4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4개 대응방안은 ▲중앙은행의 달러화 매입 확대 ▲투기성 단기자본에 대한 금융거래세(IOF) 세율 인상 등 기존 대책 외에 ▲외국인의 국채 투자이익에 대한 소득세(IR) 부활 ▲외국인의 증시 투자에 대한 IOF 세율 인상 등을 의미한다고 브라질 언론은 전했다.
브라질 재무부는 최근 투기성 단기자본에 대한 IOF 세율을 2%에서 4%, 6%로 높이면서도 금융시장 전반에 미칠 충격을 고려해 증시에 투자하는 외국자본에 대한 IOF 세율은 2%를 그대로 유지했었다.
브라질 재무부와 중앙은행은 일단 다음 주 서울에서 개최되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결과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재무부 고위 관계자는 "서울 정상회의에서 환율 문제에 관한 해법이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특히 신흥국 통화 가치 상승을 초래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의 환율 갈등이 서울 정상회의에서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엔히케 메이렐레스 브라질 중앙은행 총재는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 조치가 브라질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브라질은 서울 정상회의에서 환율 왜곡을 피하기 위한 합의를 촉구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도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 조치가 '환율전쟁'과 관련한 국제사회의 논란에 불을 붙이는 결과만 가져올 수 있다"면서 "환율 문제는 서울 정상회의의 가장 중요한 의제 가운데 하나가 돼야 하며, 브라질은 환율전쟁에 제동을 걸 수 있는 국제적 합의를 마련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