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지는 G7, 새로운 거버넌스 G20 뜬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1-09 17: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새로운 합의기구 탄생···막강해진 영향력

세계 경제를 주도해 온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선진 7개국은 군사적으로도 막강한 파워를 지니고 있는 전통 강국이다.

G7은 1970년대 두차례 오일쇼크를 계기로 국제 경제공조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등장했다. 이후 세계 경제문제를 논하는 테이블에서 막강한 입김을 자랑하며 의사결정을 독식해왔다.

G7회원국들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금융 안정성을 강화하고 충격을 완화하는데 힘써왔다고 강조한다. 또 경제위기의 여파를 제어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에도 긴밀하게 참여해왔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G7은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를 맞으며 이미 한계에 봉착했고, 192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이라는 글로벌 경제위기를 초래한 주범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금융위기 이전까지 자본 흐름과 투자, 인수합병(M&A)에 대한 규제완화, 시장 중심 금융시스템 도입을 이끌어 온 미국에 대한 회의감이 팽배했다. 미국식으로 규제를 모두 풀다 보니 탐욕과 무질서가 난립해 오늘의 위기에 이르게 된 것 아니냐는 반성이 일었다.

이에 따라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G20가 새로운 해결사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냐에 귀추가 주목된다.

G7 태동 이후 세계 강국으로 부상한 브릭스(BRICs)와 아시아 신흥국인 한국ㆍ인도네시아, 북미의 멕시코, 남미 아르헨티나, 중동의 석유강국 사우디아라비아, 유럽 편입을 꿈꾸는 터키,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다극화'라는 화두를 던지며 정상회의에 참여하게 됐다.

여기에 유럽연합(EU) 의장국까지 합쳐서 총 20개 국가가 참여하는 G20라는 새로운 합의기구가 탄생했다. G20가 전 세계 GDP의 90%, 글로벌 교역량의 80%,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그 영향력은 막강할 것으로 보인다.

특별취재팀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