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국제신용평가사들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24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오가와 타가히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국가 신용등급 담당 이사는 "이 사건으로 인해 한국의 자본수지가 악화되거나 국가 신용등급이 하락하는 등의 문제는 발생할지 않을 것"이라며 "상황을 계속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존 챔버스 S&P 전무도 "이번 사건이 한국의 국제수지나 여타 신용측정 지표를 훼손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한국에 부여한 신용등급에는 이미 군사적 공격 등 한반도의 긴장상황이 반영돼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 한반도의 남북 대치 및 충돌 가능성 등이 고려돼 있는 만큼 이번 사건만으로 해외 투자자들이 이탈하거나 국가 신용등급이 떨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S&P는 현재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로 평가하고 있다.
무디스도 한미 군사동맹이 견고하고 중국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하향조정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피치도 이번 사태로 한국에 부정적인 신용등급을 부여하지는 않을 것이며 사태의 추이를 계속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현재 피치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로, 무디스는 'A1'으로 평가하고 있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체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이번 사건이 한국에서 사업을 하는 미국인들의 태도에 현저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의 긴장은 이미 50년 넘게 지속돼왔지만 한국은 그동안 인상적인 성장을 이뤄냈다"며 "미국 기업들은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으며, 그들은 여전히 한국을 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지역의 역동적인 경제권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손성원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석좌교수는 "일부 외국인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한반도의 긴장 고조가 즉각적으로 한국의 국가 위험도에 부정적으로 반영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사건만으로 한국의 신용도가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S&P와 무디스, 피치 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들은 앞서 서해교전이나 천안함 사태 때도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조정하지 않았다.
nvces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