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동반성장지수 기업의견 반영 안됐다’

(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경제계가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성위)가 도입을 추진중인 동반성장지수(안)에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20일 전경련과 대한상의 7개 경제단체는 동성위에 건의한 ‘경제계의 동반성장지수 개선의견’을 통해 동반성장지수(안)이 기업실정에 부적합한 평가항목이 포함되는 등 기업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의 조사결과, 응답업체의 57%는 ‘동반성장지수의 도입 필요성에는 공감한다’고 밝혔지만, ‘동반성장지수 제정과정에서 기업의견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8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제계는 동반성장지수가 자율적인 동반성장 기업문화가 확산되는 지표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이행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기준이 설계되고, 우수평가기업에는 인센티브가 부여되는 방향으로 활용되는 등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진할 수 있도록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먼저 경제계는 동반성장지수 평가의 골자가 되는 공정거래협약 평가기준을 완화해 평가 대상기업의 30%이상이 우수이상의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경제계는 동반성장지수 평가결과에 대한 기업별 순위공개는 지양하고, 등급별로 평가한 후 우수기업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경제계는 동반성장 중소기업 체감도 평가에 ‘물량공급의 안정성’, ‘공급가격 조정수준의 합리성’ 등 수요중소기업과 협력을 요구하는 항목은 제외해야 하고, 중소기업 체감도 조사는 대기업 공정거래협약과 동일하게 연 1회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체감도 평가대상은 협약체결 협력사 중에서 전자업종 30%, 자동차 업종 50% 등 거래비중, 규모를 고려해 업종별로 선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경련 관계자는 “동반성장지수가 민간 자율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던 만큼, 향후에도 기업 자율적인 동반성장 추진에 적합한 방향으로 동반성장지수가 발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장경제원리에 맞지 않은 부문에 대해서는 경제계의 대안을 지속적으로 제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