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전국 최초로 시행되는 보건복지부 시범사업으로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의 불법주차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보건복지부는 이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해 4월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하는 시범설치지역을 공모, 인천시가 제출한 사업계획서가 최종 선정되어, 행안부와 보건부로부터 총 7억원의 사업비를 지원 받아 추진해 왔다.
이에 인천시는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대상 기관으로 인천시 청사를 비롯해 동구, 남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청사에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비장애인 및 주차불가 장애인의 불법주차를 계도·단속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IT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을 설치했다.
이 시스템은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비장애인 차량이 주차 할 경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해 경보음과 차량이동 안내 멘트가 나오는 등 중앙통제본부의 시스템으로 주차단속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시 관계자는 “시범 운영을 통해 유비쿼터스 IT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의 계도․단속에 대한 효과를 분석해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공공기관 및 민간영역까지 시스템 설치 확대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