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대통령실장이 지난 8일 예고도 없이 청와대 출입기자실이 위치한 춘추관을 찾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선정 논란에 대한 입장을 설명한 게 대표적이다.
임 실장은 당시 "과학벨트 입지를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분리하는 것으로 보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남권 신공항 입지 논란과 관련해 "해당 부처에서 결정할 일"이라며 말을 아꼈던 것과는 분명히 달라진 모습이다.
또 이에 앞서서는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이 국회의원과 정당에 기업·단체 후원금을 허용하자는 중앙선관위의 정치자금법 개정 의견에 대해 "정치 개악"이라며 반발, 결국 선관위의 '포기' 의사를 받아내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국방개혁'과 관련해 반발이 일 때는 대통령의 이름으로 적극적인 개혁 지원을 약속했다.
이처럼 청와대가 다시금 국정 현안의 전면에 나서게 된 것은 그동안 제기된 '컨트롤 타워 부재' 비판에 따른 나름의 해법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을 늦추기 위해서라도 청와대가 직접 나서는 게 가장 효율적이라는 판단을 했음직하다.
그러나 청와대가 다시 전면에 나선다고 해서 레임덕이 늦춰진다고 장담하긴 어렵다. 오히려 매사에 청와대가 개입할 경우 그에 따른 리스크(위험)도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다.
청와대가 정책 결정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판단이 들 경우가 그렇다. 그런 점에서 임 실장의 '과학벨트' 발언이 13일 과학벨트위원회의 '통합 배치' 원칙 확정을 통해 현실화된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최근 30%대로 떨어졌다. "소통이 안 된다", "일방주의다"라는 비판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겉으로는 "지지율에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는 청와대지만 그 어느 때보다 힘든 봄을 맞고 있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