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16일 오전 2시와 4시에 4G LTE 시험전파 발사를 시작으로 오는 7월 국내 최초 상용화를 위한 본격 준비에 나선다. 사진은 LG유플러스의 엔지니어들이 경기도 오산 4G LTE 기지국에서 LTE 시험 전파를 위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은 각각 16일 오전 2시와 4시에 4G LTE 시험전파 발사를 시작으로 오는 7월 국내 최초 상용화를 위한 본격 준비에 나섰다고 17일 밝혔다.
SKT는 경기도 분당 사옥 및 인근 지역에 LTE 시험국을 설치했다.
SKT는 분당 지역에 이어 서울 등으로 시험국 운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경기 오산 지역에 4G LTE용 기지국과 광중계기 설치를 완료하고 테스트를 시작했다.
SK텔레콤은 800㎒ 주파수 대역에서 829∼839㎒를 하향 대역으로 874∼884㎒를 상향 대역으로 LTE를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800㎒ 주파수 대역 중 839∼849㎒을 LTE 발신용으로, 884∼894㎒을 LTE 수신용으로 사용한다.
LTE는 데이터 전송속도가 3G 서비스보다 5∼7배 빠르다.
1.4GB 영화 한 편을 내려받는데 LTE는 2분이면 되고 MP3 100곡도 40초 정도면 내려받을 수 있다.
SK텔레콤의 경우 그동안 이동통신시장에서 800MHz 저대역주파수 운용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살려 LTE 서비스에서도 한수준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방침이다.
SK텔레콤 권혁상 네트워크부문장은 “지난 20여 년간 800MHz대역에서 쌓아온 세계 최고수준의 운영 노하우를 총 집결할 것”이라며 “중계기 등 기존 800MHz 대역의 장비를 LTE용으로 적극 활용해 지하공간, 실내공간 등에서 완벽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도 LTE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강문석 LG유플러스 SD본부장(부사장)은 “LTE 시험 발사는 LG유플러스가 4G 1등을 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하나의 기지국에서 2G와 3G는 물론 LTE도 서비스할 수 있는 통합형 멀티모드 기지국 1400개를 설치하는 등 LTE 전국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오산에 이어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 부산, 광주 등으로 LTE 시범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