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크기 탄소 자석 원리 규명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나노 크기(10억분의 1m)의 축구공 모양 탄소 결합체가 자석이 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철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탄소원자 60개로 이뤄진 나노 크기 분자인 ‘풀러린(fullerene)’이 수소를 흡착하면 상온에서 어떻게 영구자석으로 변하는지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나노 크기 풀러린 영구자석이 앞으로 차세대 자기공명영상(MRI)용 조영제나 새로운 암치료법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교과부측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풀러린에 붙은 수소가 풀러린 분자 표면에 갇힌 전자를 만들면, 이 전자들 사이 상호작용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띠를 형성하고 이 에너지띠가 영구자석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풀러린에 흡착된 수소의 수가 홀수일 경우에만 영구자석이 되며, 일단 홀수의 수소만 붙으면 숫자에 관계없이 영구자석의 세기는 같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