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4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75.9%가 야근을 하고 있으며, 이중 45.8%는 별도 수당이나 식대조차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야근 횟수는 평균 일주일에 3.4회였으며 시간으로 환산하면 약 11시간이었다. 야근이 가장 많은 요인을 화요일(28.9%)과 월요일(26.8%)이었다.
야근을 하는 이유로는 △많은 업무량(49%, 복수응답) 업무 특성상 불가피(33.6%) △전체적인 회사 분위기(28.5%) 등을 꼽았다.
이에 대해 응답자들은 △이직·퇴사 고민(54.2%, 복수응답) △업무효율 저하(51.6%) △애사심 저하(48%) △업무 불성실(35.2%) 등 부정적인 효과가 더 크다고 말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잦은 야근은 피로도를 높여 업무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라며 “가급적 업무 시간에 집중력을 높여 가급적 야근을 줄이는 게 성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