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수입사 E1은 가격인상을 발표했다가 4시간만에 다시 동결하는 것으로 입장을 바꿨다. 정부의 가격동결 요청을 받고서다. 업계에서 정부의 가격대책이 촌스럽다는 지적이 나올 만하다. 지난달 기름값 대책은 예전 방안을 그대로 답습해 업계로부터 사실상 낙제점을 받았다. LPG가격 대책도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간섭하는 방식의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정부가 갑작스럽게 가격인상에 제동을 건 이유도 의문을 야기한다. 물가안정을 위해 가격동결을 요청하려 했다면 가격발표 이전에 충분히 할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언론에 보도되기 전에 정부가 수입사들의 가격인상을 몰랐다고 보기도 어렵다. 최근 물가안정 차원에서 LPG수입사들은 가격결정 이전에 정부와 사전 의견조율을 거쳐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정부는 지난 2, 4월에도 가격동결을 요청했지만 사전에 공문을 발송함으로써 이번처럼 가격결정이 번복되는 해프닝은 없었다.
이와 관련 E1의 가격인상 발표 이전에 이미 SK가스가 먼저 가격인상을 결정했었다. 언론에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SK가스가 대리점에 가격인상을 통보한 시기는 4·27 재보궐 선거 즈음해서다. 즉, 정부가 당초 가격인상을 용인했다가 여당이 재보궐 선거에 참패하자 서민물가 대책의 강도를 높여야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시장 관계자는 “가스공사가 정하는 천연가스 가격의 경우 선거 등 정치적인 목적 때문에 오랫동안 가격인상요인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며 “그동안 누적된 가격인상요인 미반영분이 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시장가격 인하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보다 세련된 가격정책이 요구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