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공단, RPS제도 설명회

(아주경제 윤용환 기자)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 에너지 센터는 30일 서초구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제도 설명회’를 가졌다.

RPS는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사업자로 하여금 총발전량의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전력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다.

이 날 설명회에는 지식경제부, 공급의무자(13개 기관), 관련 협회 및 유관기관과 많은 시장참여자들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은 이미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산업발전을 위한 RPS제도의 본격시행을 앞두고 법과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를 개정 및 제정해 기본적인 기반을 구축했으며, 연내 세부 운영규칙인 ‘공급인증서 발급 및 거래시장에 관한 운영규칙’을 제정할 예정이다.

이 날 설명회에서는 ‘공급인증서 발급 및 거래시장에 관한 운영규칙’ 제정(안) 및 ‘별도 공급 의무량 이행을 위한 판매자 선정’ 등에 대한 설명과 관계자들의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공급인증서 발급 및 거래시장 운영에 관한 규칙(안)에는 ‘공급인증서 발급 대상 및 관리’와 ‘거래시장 개설 및 운영규칙‘ ’사업자선정 절차 및 대상자 배분에 대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특히 민간사업자 투자활성화 방안으로 RPS시범사업을 개선해 추진하는 내용과 더불어 예비 발전사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공급인증서 발급 대상 설비에 대한 인정기준’도 발표됐다.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RPS제도는 직접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의무화하기 때문에 신재생 보급 목표 달성에 유리하며, 시장원리에 의해 사업자간 투자 및 가격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국내 산업의 경쟁력이 있는 분야에 산업육성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