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김 전 원장이 금감원장에 취임하기 직전 모두 매각했다는 아시아신탁 주식을 실제로는 명의신탁해 차명 보유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김 전 원장을 ‘참고인’으로 보던 검찰의 수사도 새 국면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엿보인다.
조사 과정에서 김 전 원장의 신분이 ‘피의자’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 예상보다 훨씬 강도 높은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김 전 원장이 검찰의 수사 대상에 오르게 된 것은 은진수(50.구속) 전 감사원 감사위원의 혐의사실이 공개되면서 부산저축은행의 구명 로비 대상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은 전 위원의 혐의사실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 측 로비스트 윤여성(56.구속)씨는 ‘금감원장을 통해’ 청탁하라며 은 전 위원에게 3차례 7천만원을 건넸다.
김 전 원장과 부산저축은행을 연결하는 고리가 평소 친분 관계가 있던 은 전 위원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김종창 전 원장이 은 전 위원과 관계없이 애초부터 부산저축은행 측과 상당한 유착관계에 있었음을 의심하게 하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청탁을 받고 부산저축은행 구명에 가담했는지에 맞춰졌던 의혹의 초점은 김 전 원장이 2008년 3월 금감원장에 취임하기 직전까지 임원으로 재직했던 아시아신탁 쪽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다.
특히 김 전 원장이 취임 전 처분했다던 부인 명의의 아시아신탁 주식 4만주(지분율 4%, 4억원)를 실제로는 매각하지 않고 서울대 동문인 사업가 박모씨에게 맡겨 명의신탁 형태로 보유해왔다는 정황이 포착돼 의혹을 더 증폭시키고 있다.
만약 명의신탁이 맞다면 김 전 원장이 재임 시절 아시아신탁과 부산저축은행과 얽힌 이해관계 때문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을 개연성이 그만큼 커진다.
아시아신탁은 부산저축은행 사외이사인 강모씨가 상근감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지난해 6월 자금난에 시달리던 부산저축은행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91억원을 투자했다.
김 전 원장이 지난해 2월 감사원의 요구로 실시된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금감원과 예금보험공사의 공동검사를 절차상 이유를 들어 1주일 가량 중단시킨 것도 결과적으로 유착관계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절차 진행을 늦춰 부산저축은행이 검사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준 것이라는 시선이 있다.
김 전 원장이 지난해 4월 감사원에 직접 찾아가 부산저축은행 등에 대한 부실검사를 지적하며 내린 금감원 직원의 징계요구를 철회하라고 언성을 높이며 강력히 요구한 대목도 유착 의혹을 키운다.
결국 김종창 전 금감원장을 둘러싼 이 같은 모든 의혹의 실체는 검찰 조사를 통해 하나둘 베일을 벗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