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수업 교원 "환영" 학부모 "우려"

  • 주5일 수업 교원 "환영" 학부모 "우려"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내년부터 전국에 도입되는 주5일 수업제를 놓고 교원단체와 학부모·교육단체가 '환영'과 '우려'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교원단체는 학생의 학습 부담을 낮추고 자기계발이 늘어난다는 측면에서 반겼고, 학부모는 토요일 학생을 돌봐야 하는 부담이 는다며 난색을 표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의 김동석 대변인은 이날 "학부모가 가정교육과 자녀와의 체험학습 기회를 늘릴 수 있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많은 지식의 습득을 중시하는 시각에서 창의성과 적응력에 주목하는 관점으로 여론이 바뀌었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 학력저하에 대한 문제도 과거 설문조사를 볼 때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의 손충모 부대변인 역시 "주 40시간 근로시간 원칙에 따라 당연히 이뤄져야 할 사안이었다"며 "다만 학교에 보육·교육을 의존하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방안이 충분히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학부모 단체들은 '토요일에 아이를 돌볼 비용을 가정에 떠넘긴다'며 정부의 대책을 촉구했다.

참교육 학부모회의 장은숙 회장은 "중산층 이하 가정에서는 토요일에 자체적으로 양질의 체험활동을 시켜줄 여유가 없는 곳이 많다"며 "결국 자녀를 학원에 맡기는 사례가 더 많아질 것 같다"고 내다봤다.

장 회장은 이어 애초 정부가 교원단체와의 협상 차원에서 이 사안을 다뤘다며, 학생·학부모의 의견 수렴이나 대책 논의가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주5일 수업제를 강행했다고 비판했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의 최미숙 대표도 "대안도 잘 모르는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주5일 수업제가 실시된다고 해서 우려가 크다. 주5일제의 취지를 인정하지만 점진적 시행이 옳았다고 본다"고 했다.

최 대표는 체험활동 수요를 노린 사교육 시장이 크게 팽창해 가계 부담이 늘 수 있다며,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 등 부처가 합동으로 공교육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사교육 업체들은 주5일 수업제로 학원 수요가 늘 것이라는 관측과 관련해 '일부 증가는 있겠지만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인터넷 강의 발전으로 학원 성장세가 꺾인 상황에 대세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