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결정 기준이 불투명해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고 금리인상 시기도 전반적으로 늦어 물가가 상승하고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등 경제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는 문제 제기다.
한나라당 나성린 의원은 “한은의 통화정책목표는 물가안정이고, 그 목표대상은 소비자물가임을 공언했음에도 ‘6월 통화정책방향’에서 그동안 등장하지 않던 근원물가가 언급돼 마치 금리결정 기준이 근원물가인 듯한 인상을 준다”고 지적했다.
나 의원은 “소비자물가와 더불어 근원물가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면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가 동시에 가파르게 상승했던 올해 1~4월 동안 금리 정상화를 가속화했어야 한다”며 “그때 충분히 선제적으로 금리를 정상화하지 못함에 따라 물가는 이미 올라버린 상황에서 후행적인 금리정책을 통해 시장에 예측하지 못한 충격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의 유일호 의원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를 넘어서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된다는 것은 물가당국인 중앙은행의 신뢰성이 큰 위협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민주당 이종걸 의원도 “금통위의 금리인상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없어서 시장에 혼선을 주고 있다”며 “금통위가 금리인상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고 추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