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호에서는 여름철에 더위를 이겨내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동의보감을 통해 알아보려 한다.
동의보감에는 여름철 더위를 먹지 않게 건강을 관리하는 법(夏暑將理法)이 기록돼 있다.
사철 중에 여름철이 조섭하기 힘들도다
묵은 추위 속에 있어 설사하기 아주 쉽네
신장 기운 보할 약은 없어서는 아니되고
싸늘하게 식은 음식 입에 대지 말 것일세
심장 기운 왕성하고 신장 기운 쇠약하여
진액, 정액 아끼는 게 첫째가는 조섭일세
문을 닫고 누워 자며 정신 너무 쓰지 말라
얼음물과 찬 과실도 지나치면 해롭다네
가을철에 들어서서 학질, 이질 앓기 쉽네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는 말은 흔히들 알고 있는 말이다. 더운 여름에는 음기(陰氣)가 속에 있고 양기(陽氣)가 겉에 있다. 즉 우리 몸의 체표는 외부의 더운 열기로 덥지만 우리 몸속은 상대적으로 서늘하면서 허약하다는 것이다. 마치 한 여름에 우물 안이나 땅속이 바깥보다 시원한 것과 같은 이치다.
더위를 참지 못해 자칫 차가운 음식(냉수, 청량음료, 빙과류 등)을 많이 먹으면 위와 장이 차가워져 설사, 소화장애 등이 오고 기력이 떨어진다. 찬 음식은 아주 더울 때 잠시 섭취하고 될 수 있으면 음식을 차갑지 않게 먹는 것이 좋다.
우리 조상들은 더운 여름을 잘 이겨내기 위해 한약차를 물 대신 마셨다.
생맥산 - 맥문동, 인삼, 오미자
열이나 더위에 땀을 많이 흘리고 입이 마르며 온몸이 노곤하고 맥이 약한데. 폐기운이 약해서 마른기침을 하고 숨이 차며 식은땀을 흘리는데. 여름철에 식욕이 유난히 떨어지거나 더위를 많이 타서 땀을 잘 흘리는 사람에게 좋다.
제호탕 - 오매, 사인, 백단향, 초과, 꿀
‘동의보감’과 ‘방약합편’에 의하면 ‘제호탕은 더위를 풀어주고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른 것을 그치게 해주며, 위를 튼튼하게 하고 장의 기능을 조절해 설사를 멈추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여름에 기를 보해야 한다고 기록돼 있다.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여름 한철은 사람의 정신을 손상하는 시기이다. 삼복더위에는 내리쬐는 더위가 기를 상하기 때문에 양생하는 사람들은 이런 때에 더욱 주의해야 할 것이다. 사람과 천지(天地)는 풀무와 같다. 음력 11월에 1양(一陽)이 생기고 정월에 3양(三陽)이 생기며 4월에 6양(六陽)이 생기어 양이 다 위로 올라오는 것인데, 이것은 기가 뜬 것이다. 사람의 배는 지기(地氣)에 속한다. 이때 양기가 몸의 겉부분에 떠올라와 피모(皮毛)에서 흩어지면 뱃속의 양기(陽氣)가 허해진다.”
한약(보약)은 일반적으로 봄·가을에만 먹는 것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다. 여름철에 한약을 먹으면 ‘약기운이 다 땀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약효를 전혀 볼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상식이다.
삼복더위 여름에 땀을 많이 흘려 떨어진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흔히 삼계탕이나 추어탕, 보신탕을 먹는 사람들이 많다. 한약도 마찬가지로 여름을 잘 이겨내기 위해 여름 전(겨울이나 봄)에 미리 먹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처럼 미리 대비를 하지 못해 여름철 몸이 허한 상태일 때는 기운을 보충해 주는 한약을 먹는 것이 오히려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