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우위영 민노당 대변인은 전날 이인영 민주당 야권통합특위 위원장이 제안한 연석회의 개최에 대해 "민주당은 작년 지방선거 때 야권연대를 위한 최종합의문까지 만들어놓고 최고위원회의에서 폐기하고, 4.27 재보선 때도 정책합의문을 만들었다가 어긴 전례가 있다"며 "통합이 아닌 야권연대부터 시작해 착실하게 신뢰를 쌓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전날 정파등록제, 정파명부식 투표제를 골자로 한 연합정당 구성을 목표로 연석회의를 개최하자고 야3당에 공식 제안했다. 정파등록제란 정당 내 정파의 독립성을 인정해 준교섭단체를 두고 중요한 법안 표결시에도 당론을 강제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국민참여당 이백만 대변인도 "민주당과는 현재 진행중인 진보정당 창당이 이뤄진 다음에 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정론을 펼쳤다.
다만 진보신당 노회찬 새로운 진보통합정당 추진위원장은 “논의의 폭을 통합으로 한정하면 대화의 시작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며 “내년 양대선거 승리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라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