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주택건설 실적(인허가 기준)은 17만600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8% 늘었다. 최근 3년간 상반기 평균보다도 54.8% 증가했다. 이는 다세대·다가구·도시형 생활주택 등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이중 수도권에서는 9만1000가구가 공급돼 작년 동기 대비 39.6% 늘었다. 지방은 8만5000가구로 88.9% 증가했다. 서울에서는 4만 가구가 건설됐다. 작년보다는 182.3%, 최근 3년 평균보다는 114.6% 늘어난 것이다. 특히 서울 강남3구에서는 단기간내 입주가 가능한 다세대·다가구 주택공급이 지난해 동기 대비 122% 늘었다.
또 민간 부문 공급은 17만2000가구로, 지난해 동기 대비 62.9%가 늘었다. 반면 공공 부문은 10.1% 줄었다. 유형별로는 각종 규제완화와 기금지원 확대 등에 힘입어 다세대·다가구주택이 96.6% 증가했으며, 아파트도 61.2% 늘었다.
소형주택 선호 추세로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주택은 작년 상반기보다 108.0% 증가한 반면, 중대형 주택(85㎡초과)은 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토부는 이날 수도권 지자체(서울·인천·경기) 및 지방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협회가 참석한 가운데 주택건설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주택건설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논의했다.
국토부는 올해 보금자리주택 15만 가구 공급 목표를 차질 없이 추진하기로 했으며, 주택 경기 활성화를 위해 각종 규제완화 및 지원대책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주택업계는 미분양 주택을 줄이기 위한 자구노력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주택건설 상황점검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해 하반기 전세시장 안정을 위한 시장점검 및 애로요인 해소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주택수급 균형 달성을 위해 올해도 계획물량을 차질없이 건설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