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월 재정적자 감축과‘부자 증세’방안의 하나로 도입을 제안,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에‘버핏세’ 또는 공평과세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오바마 대통령이 발표한 장기 재정적자 감축안에서 연간 소득 100만달러 이상인 부자들에게‘최저한도 세율(Minimum tax rate)’을 적용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하지만 당시 공화당은 지금도 세율이 충분히 높으며 버핏세는 분열을 조장하는 정책이라며 반대했다. 또 오바마가 재선을 위해서 포퓰리즘 정책을 들고 나왔다고 대립의 날을 세웠다.
이를 두고 미국의 워런 버핏은 자신의 소득세액까지 공개하며 ‘버핏세’에 반대하는 공화당을 향해 재반격에 나섰다. 버핏은 공화당 소속 팀 휴얼스캠프 하원의원(캔자스)에게 서신을 보내 자신과 같은‘슈퍼 부자들’이 일반 직장인보다 더 낮은 세율을 적용 받고 있다며 세율의 문제점을 거듭 지적했다.
버핏은 이 편지에서 자신이 지난해 과세대상 소득 3980만달러에 17.4%의 세율을 적용 받아 690만달러(약 80억원)를 연방정부 소득세로 냈다고 밝혔다. 이는 자신의 직원들에게 대부분 30%대 소득세가 매겨지는 것과 비교할 때 불평등한 것이라고 버핏은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