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SMD는 올해 3분기 17억9천3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리며 중소형 디스플레이시장 점유율 21.4%를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 점유율 17.6%보다 4.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이 회사의 점유율이 20%를 상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디스플레이서치는 또 SMD의 시장 지배력이 4분기에는 더욱 강화, 21억1000만달러로 매출이 증가하며 점유율이 24.2%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시장 점유율 2위인 일본 샤프는 2분기 시장 점유율 16.4%(매출 11억1300만달러), 3분기 14.5%(12억1600만달러)로 하락세를 보이고, 4분기 점유율은 13.7%로 더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일본 정부의 전폭적 지원으로 출범하는 도시바, 소니, 히타치 등 3개사 연합인 ‘재팬디스플레이’도 현재로서는 SMD를 추월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개사의 3분기 시장 점유율을 합하면 18.3%로 SMD의 점유율보다 2%포인트 가까이 밑돌았다. 이들의 2분기 점유율 합계는 17.1%로 SMD와 박빙의 차이를 보였다.
회사측은 지난 5월 가동에 들어간 세계 최초의 5.5세대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라인이 본격 가동에 들어가며, AMOLED 공급이 급격하게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회사 관계자는 “AMOLED가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를 비롯해 모토로라의 차세대 전략 스마트폰 레이저와 노키아의 루미아 800등에 채택되며 스마트폰 시장의 주력 디스플레이로 부상하고 있다”며 “다음달 출시되는 소니의 휴대용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 비타에도 5인치 AMOLED가 탑재되는 등 빠르게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