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한국낙농육우협회 경남도지회 소속 축산농민 10여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육우(고기용 젖소 수컷) 최저사육비 지원방안 등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육우값 폭락뿐만 아니라 사료값 폭등으로 육우 출하 때 마리당 140만원 이상의 적자를 보고 있다"며 "소값 폭락에 대한 전적인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한우 사육두수 적정선 유지 실패, 사료값 폭등 등 정부의 무대책으로 육우가 소값 폭락의 직격탄을 맞은 만큼, 정부가 육우 산업 정상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정부가 경남도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육우 1000마리 정도를 긴급 수매하고, 입식 농가에 한해 마리당 75만~100만원 정도의 사료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끝낸 뒤 경남도청 축산과 관계자들과 면담을 하고, 도내 축산산업의 안정을 위해 도가 조속한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경남도 축산과의 한 관계자는 "수매 등은 전국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고, 도 입장에서 차후에 각 농가에 어떤 부분을 지원해 줄 수 있는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11년 12월 현재 경남도내 한ㆍ육우는 30만3000여마리(육우 2400여마리)로, 전국에서 10.3%를 차지하고 있다. 한ㆍ육우를 기르고 있는 농가수는 2만4000여가구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