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이 워킹맘 150명을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 1위는 ‘남편이 고충 몰라줄 때’라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40%가 이를 꼽았다.
이어 ‘퇴근 후 아이까지 돌봐야 할 때’(32%), ‘눈치 보며 퇴근해야 할 때’(19%), ‘회식 빠져야 할 때’(9%) 등 응답이 뒤따랐다.
워킹맘이 늘면 워킹대디의 부담도 늘어나게 마련. 역시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아이들과 서먹할 때’(38%), ‘집에서마저 (아내에) 시달릴 때’(29%), ‘아내가 고충을 몰라줄 때’(27%), ‘월급 중 내 몫이 적을 때’(6%) 서럽다고 했다.
이들은 이 같은 어려움 속에서 ‘나도 힘들어’(43%), ‘(재롱 부리는) 애들 때문에 산다’(30%), ‘(칼퇴근 할 때)아이가 아파서요’(21%), ‘아이고, 내 팔자야’(6%) 같은 말이 입에 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주 가연 대표이사는 “회사에 가사, 육아까지 맡아야 하는 맞벌이 부부가 늘며, 상실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며 “자신에 대한 투자, 가족 화합 시간을 자주 갖도록 시도하는 게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