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개발 인체통신기술 국제표준 채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3-13 16: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인체를 전송 매질로 삼아 전자기기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체통신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국제표준에 채택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지난 2009년 개발에 성공한 인체통신기술이 지난달 29일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기술표준위원회에서 국제표준에 채택됐다고 13일 밝혔다.

인체통신기술이란 사람의 몸을 전선과 같은 매개물질로 활용해 별도의 전력 소비 없이 인체에 통하는 전류를 이용하는 기술로 사람의 팔, 다리 등 신체를 이용해 사진, 동영상, 음악파일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번에 공표된 표준은 인체주변 영역에서의 전자기기나 바이오센서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IEEE 802.15.6)으로 무선주파수를 사용하는 초광대역(UWB), 협대역(NB) 기술과 인체 매질을 이용하는 인체통신기술을 활용한다.

이중 ETRI가 세계 최초로 개발해 원천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주파수 선택형 디지털 전송 방식이 이번에 국제표준에 채택됐다.

주파수 선택형 디지털 전송은 무선통신(RF) 회로나 주파수 변조 과정 없이 디지털 신호만을 이용해 채널특성이 우수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존 통신방식에 비해 전력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우수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새 기술이다.

엄낙웅 ETRI 시스템반도체연구부장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인체영역 네트워크 통신기술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등의 응용서비스 연구가 활발하다”면서 “핵심기술인 인체통신기술의 국제표준 채택으로 이러한 연구 및 상용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