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공천 탈락자들의 행보를 살펴보면 △공천 결과 불복 후 신당·무소속 출마 △결과 승복 후 불출마 선언 △항의 및 재심 청구로 나뉜다.
새누리당의 경우 낙천 친이계의 집단 탈당 위기에서 김무성 의원의 당 잔류 선언으로 수습되는 듯 하다가 낙천자들의 무소속 출마 기미가 엿보이고 있다.
김 의원의 백의종군 선언 이후 공천에서 탈락한 정해걸(경북 군위·의성·창송), 이경재(인천 서구강화을), 윤영(경남 거제) 의원, 나경원(서울 중구) 박종근(대구 달서갑) 등이 불출마를 선언했고 인천 남동을 지역이 전략공천지역으로 선정된 조전혁 의원은 공천위 결정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최병국(울산 남구갑) 의원은 공천에 반발해 새누리당을 탈당했지만 총선에는 불출마키로 했다.
또 서울 종로 공천을 신청했다 탈락한 이동관 청와대 전 홍보수석도 불출마 대열에 합류했다.
반면 친이계 허천(강원 춘천), 이윤성(인천 남동갑) 의원과 친박계인 유정현(서울 중랑갑)의원과 석호익(경북 고령·성주·칠곡) 전 KT부회장은 탈당 후 무소속출마를 선언했다.
전여옥(서울 영등포갑) 의원은 탈당 후 국민생각에 입당했다.
강승규(서울 마포갑), 조진래(경남 의령·함안·합천)의원, 심재엽(강원 강릉) 전 의원 등은 공천 확인 무효소송, 공천 금품 살포 의혹 등을 제기하면서 공천에 반발하고 있다. 정수성(경북 경주) 의원은 재심 청구 끝에 재공천을 받았다.
민주통합당은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로 돌파구를 여는 듯 했으나 결과에 반발하는 반응이 적지 않다.
이미 공천에서 탈락한 구 민주계 인사들인 한광옥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 김덕규 전 국회부의장, 이훈평 전 국회의원 등은 탈당후 정통민주당을 창당했다.
또 텃밭인 광주 지역의 경우 무소속 출마 러시가 두드러지고 있다. 광주 8개 지역구 중 이번에 낙천한 조영택 의원(서구갑), 김재균 의원(북을)이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또 당이 불법 선거인단 모집 의혹과 연루자의 자살사건이 발생한 광주 동구를 무공천 지역으로 선언했지만 현역인 박주선 의원은 무소속 출마를 고심하고 있다.
이어 야권단일화 결과에 대해 반발해 추가적인 이탈도 예상되고 있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간 야권 단일후보 경선에서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에 패해 경선에서 탈락한 김희철 민주통합당 의원은 “경선 결과에 승복할 수 없다”며 “법적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반면 김영진 의원(광주 서구을)이 공천에서 탈락한 광주지역 현역의원 중 처음으로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