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임고문은 16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아직 대통령, 총리 등 역할분담까지 거론할 것은 아니고 나중에 연대를 하는 과정에서 서로 정책을 어디까지 공조할 것인지 조정을 해야 하고, 이에 따른 역할분담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해야 하므로 아직 구체적으로 그런 역할분담론까지 이를 단계는 아니다”라며 “(연대해서 집권하게 되면) 당연히 책임을 공동으로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고문은 “친노(친노무현) 세력이 대선후보로 문재인 상임고문을 지지하느냐”는 질문에는 “대선후보는 지난번 당대표 선거 당시 60만명보다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할 것”이라며 “어느 특정한 무슨 계보나 정파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통합진보당 이정희 전 대표에 대해 그는 “지금까지 해 온 정치적 여러 자세, 발언이 국민에게 어떤 상처를 남겼는지를 스스로 냉철하게 성찰해야 한다”며 “정치는 언제나 실수를 할 수 있지만 냉철하게 자성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고문은 통합진보당과의 연대에 대해서는 “그 당의 모습을 보고서 여러가지 안 좋겠지만 그 당에서 기대했던, 진보정치에 대한 애정을 갖고 있고 그것을 지지하는 유권자의 마음은 그대로 살아있다”고 유지 쪽에 무게를 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