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양식은 오리가 대세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초여름 보양식 상품 가운데 품목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오리와 전복은 상승세, 장어와 생닭은 하락세를 보였다.

17일 롯데마트가 지난 5월부터 이달 14일까지 매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오리와 전복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35.6%·20.5%씩 늘었다.

반면 장어와 생닭은 같은 기간 14.5%·7.5% 줄었다.

이에 대해 롯데마트 측은 오리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작년보다 큰 폭으로 하락, 오리 매출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롯데마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냉장 통오리(1.2㎏) 가격은 현재 9900원으로, 작년 같은 때(1만2800원)보다 23%가량 떨어졌다.

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오리 사육 마리수는 1309만마리로 전년 대비 52.8% 늘었다. 4월 병아리 입식 마리수도 749만마리로 작년보다 14.9% 증가, 하반기에도 출하량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또 7~8월 여름철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급량과 재고량 과다로 산지 가격이 전년 대비 33~40%가량 떨어질 것으로 보여 오리 수요는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전복은 1㎏ 기준으로 올해 가격이 3만3000원에 형성됐다. 작년 같은 때 3만8000원보다 13%가량 하락한 값이다.

작년 여름 태풍 피해로 인해 전복 가두리 양식장의 30%가 유실돼 전복 공급이 줄어 가격이 급등한 반면 올해는 작은 크기의 전복 출하량이 늘며 가격이 작년 대비 감소했다.

다만 전복 가격 하락 추세는 수요 감소로 인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요가 늘어나는 7~8월 가격이 작년보다 최대 30%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장어와 생닭은 이른 더위에도 불구하고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요가 주춤하는 모양새다.

특히 장어 경우 보양식 상품 가운데 가격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국내산 장어 치어 입식량이 해마다 감소함에 따라 가격이 치솟아 훈제 민물 장어 도매가격이 현재 1㎏당 8만5000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2년 전보다 2배 넘게 상승한 것이다.

생닭은 가격이 작년보다 5% 상승하며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

남창희 마케팅부문장은 "가격 동향에 따라 초여름 보양식 매출도 품목별로 희비가 교차했다"며 "본격적으로 보양식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훈제오리, 생닭 등을 상반기 최저가 수준으로 준비했다"고 전했다.

한편, 롯데마트에서는 본격적인 보양식 시즌을 맞아 오는 21일부터 27일까지 보양식 상품 할인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