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는 19일 국회로 자신을 예방한 고흥길 특임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검찰에서 허술하게 수사하고 무마시켰는데 대통령이 관여돼 있으므로 특검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개원협상이 늦어지는 이유가 민간인 불법사찰 청문회를 피하기 위함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며 “올림픽까지 국회를 열지 않으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참으로 이해가 안간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고 장관은 “이 대표의 뜻을 정부측에 잘 전달하겠다”며 “통 큰 정치를 하는 차원에서 개원은 개원대로 하고, 국정조사는 국회를 연 다음에 국회에 들어가서 하면 풀리겠는데 일괄로 하려니 상당히 진통을 겪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불법사찰 무마용으로 제공한 ‘관봉 돈다발’과 관련해 “총리실은 (한꺼번에) 5천만원이라는 규모의 돈을 사용하지 못한다. 총리가 1천만원을 사용하는데 그 용처는 경찰 야식비나 어려운 분들에게 격려금으로 사용한다”며 청와대 출처 가능성을 거듭 제기했다.
이 대표는 또 자신이 제안한 ‘여야정 경제협의체’와 관련해 “과거 야당 할 때와 2001년에 경제 공동대책위원회를 여야가 같이 운영한 적이 있다”며 “그렇게 좀 해서 경제를 잘 풀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MBC 파업 장기화에 대해 “방송이 150일 가까이 파업하는 이례적인 상황인 만큼 여당에서 책임져야 될 상황”이라며 사태 해결을 위한 노력을 당부했다.
앞서 이 대표는 중소기업중앙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정권교체를 해 대기업프렌들리에서 중소기업 프렌들리로 바꿔야 한다”며 “중소기업을 위한 조세정책으로 바꿔야 한다. 정부의 정책기조와 방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