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금융권, 상생경영이 해법이다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에 유로존 재정위기까지 쉴새 없이 터져나오는 악재로 금융권의 경영 환경이 악화일로에 있다.

장기 불황으로 대기업부터 서민 가계까지 어려움을 겪으면서 금융회사들도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금융회사들을 가장 힘들게 하는 것은 사회 전반으로 확산돼 있는 반(反)금융 정서라는 분석이다.

금융권의 탐욕을 비판하며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점령하라(Occupy)’는 구호로 시작된 시위는 글로벌 금융시장을 돌고 돌아 국내에도 상륙했다.

수익을 많이 내면 금융권이 이익 추구에만 혈안이 돼 있다고 비판하고, 수익이 적게 나면 제 역할을 못한다고 욕을 먹는 사회적 분위기에 금융회사들은 난감해 하고 있다.

이제 금융권의 지속가능 성장을 담보하는 것은 차별화된 영업 전략이 아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 사회 구성원들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이 됐다.

다행히 금융권도 이같은 추세를 인지하고 변화에 나서고 있다.

은행들은 올해 사회공헌 재원으로 1조원 가량을 마련할 방침이다. 예년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금액이다.

특히 그동안 지속해 왔던 일회성 기부 방식의 사회공헌 활동에서 벗어나 취약계층의 자립 및 자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전개해 호응을 얻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고금리 채무로 신음하고 있는 청년층과 대학생 지원을 위한 ‘고금리 전환대출’ 제도다.

은행연합회의 17개 회원 은행은 총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연이율 20%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은행의 저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다른 금융 권역도 사회공헌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생명보험사들이 재원을 출연해 설립한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대학생 학자금 부채 상환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율 논란으로 궁지로 몰린 카드업계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활로를 찾고 있다. 스포츠와 문화 관련 혜택을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등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사회공헌 활동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일부 금융회사는 보다 획기적인 사회공헌 모델을 찾기 위해 공모전까지 개최하고 있다.

다만 이같은 사회공헌 활동들이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는 비판은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금융권 내에서도 정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요구하는 사회공헌 규모가 과하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융권이 상생경영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는 고객으로부터 진정성을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