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축산단체와 곡물관련 협회, 소비자단체 등 총 16개 기관·단체가 참석해 국제곡물가 상승의 국내 영향과 대책 등을 논의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올 한해 사용할 곡물의 대부분을 확보(밀·콩·옥수수 1426만t 중 1385만t)한 만큼, 하반기까지 국제곡물가 상승이 국내 곡물가에 미칠 영향은 작을 것으로 전망했다. 콩과 옥수수는 12월 가공물량까지, 밀은 11월 가공물량까지 각각 최소 4~5개월분을 확보한 상태다.
하지만 국제곡물가 변동이 국내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는 약 6개월가량의 시차가 발생하는 만큼 현재의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내년 초부터 국내 곡물가 역시 비상이 걸릴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예측했다.
서규용 농식품부 장관 역시 이날 회의에서 “국제곡물가격이 지난 2008년 보다 더욱 심각한 상황”이라며 “생산자단체와 업계, 정부가 힘을 합쳐 비상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내년 1분기 곡물가에 비상이 걸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2008년 애그플레이션 때 추진했던 사료·화학비료 구입자금 지원, 밀·콩의 할당관세 무관세화, 쌀가루를 이용한 밀가루 대체 등을 재추진할 뜻을 밝혔다. 또 콩·밀 생산 확대 및 수요기반을 강화하고 공공비축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콜옵션 등을 통해 곡물을 매입한 후 가격 상승 시 오르기 전 가격(매수가격)으로 실수요자에게 공급하는 등 금융시장을 활용한 수입곡물가격 안정화 방안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다만, 현재 추진 중인 미국 내 곡물유통망 확보는 유통시설 매물이 적고 고가로 매입할 우려 등이 있어 보다 신중을 가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향후 시장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곡물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관련 업계와 회의를 개최해 대책을 보완할 예정”이라면서 “곡물가 상승에 따른 국내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곡물가 상승 관련 최종대책은 기획재정부 등 관련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확정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