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금융위기 후 서울 전세금 상승 'Top3'은?…송파·강동·서초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서울에서 전세금 상승률이 높은 구는 송파구와 강동구로 나타났다. 강남과 접한 광진구와 성동구가 뒤를 이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는 2009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한강 이남이 40%, 한강 이북이 32%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가장 많이 오른 구는 송파구로 57.9%가 상승해서 서울 자치구 중에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어 강동구(53.9%), 서초구(47.9%), 광진구(45.7%), 성동구(38.7%) 등이 오름폭이 높은 자치구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부동산114는 서초·송파, 강동은 2008년에 재건축 아파트 공급 영향이 컸다며 한꺼번에 입주 물량이 몰리며 전세금이 짧은 기간에 크게 떨어졌고 2010년 재계약 시점 때 전세난이 겹치면서 가격이 급격히 올랐다고 분석했다.

[그래프 = 서울 자치구별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 부동산114 제공]


실제 송파구는 지난 2007년말 3.3㎡당 708만원 수준이던 전세 가격이 2008년 말에는 636만원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후 2009년부터 강남권에서 신규 입주가 이뤄진 아파트로 전세를 구하는 사람들이 몰리며 2009년 이후로 가격이 빠르게 올랐다. 결국 2009년말 1000만원선을 넘기기에 이르렀다.

특히 5년 미만 신축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세가 크게 돋보인다. 전셋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5개 자치구들의 5년 미만 신축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률은 77%로 나타났다.
[그래프 = 서울 송파·강동·서초구 입주물량 및 전세가격 추이, 부동산114 제공]

반면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적게 오른 지역은 은평(24.27%), 서대문(25.21%) 등 한강 이북에 대거 집중됐다. 이어 금천, 종로, 노원, 도봉 등도 적게 오른 편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는 2008년부터 최근까지 은평뉴타운 등에 2만 가구 가량이 입주해 은평구의 전세가 상승폭 제한이 있었다면서 서대문구도 이같은 영향이 미쳤다고 밝혔다.

조성근 부동산114 연구원은 "전셋값이 안정세에 있다지만 세입자가 느낄 전셋값 부담은 여전히 높다"며 "가을 이사철에 접어들며 부족한 전세 물건으로 다시 전셋값이 꿈틀단다. 만약 추석 이후 이사를 계획한다면 출퇴근 이동 거리 등을 보고 수도권 입주단지를 살피는 것도 대안"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