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하는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실린 '부모동거가 첫째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 따르면, 친정어머니랑 살 때 첫 아이를 낳을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39세 초혼 여성의 부모 동거 여부와 첫째 자녀 출산 시기를 분석한 결과이다. 친정 어머니와 동거한 여성의 경우 첫 아이 출산 확률이 그렇지 않았을 때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반면 시어머니·시아버지·친정아버지의 동거 여부는 통계적으로 출산에 큰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
친정어머니와의 동거 여부가 출산에 효과가 있는 것은 시어머니가 '돌봄 조력자'의 역할이 아닌 도움을 받아야 하는 대상이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출산이나 양육으로 인한 도움을 요청하기에 불편하다는 것도 이유로 풀이된다.
또 친정어머니는 아이를 직접 돌봐주는 서비스적 측면에서 출산을 결정하는 데 친정아버지보다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김지연 보건사회연구원은 "우리나라의 초(超)저출산 현상을 극복하려면 가임기 여성에게 경제적인 유인을 제공하기보다는 출산 후 자녀 돌봄에 유리한 환경을 만드는 방향으로 출산장려 정책이 펼쳐져야 한다" 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