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욕, 관절염 통증 완화에는 도움..심혈관계 질환자는 피해야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최근 날씨가 추워지면서 온천욕을 즐기는 이들이 늘고 있디.

온천욕은 근육과 뼈의 경련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질환별로 효능이 다르므로 자신의 몸 상태를 체크한 후 즐기는 것이 좋다.

◆ 온천욕으로 무릎 온도 유지하면 관절염 통증 완화에 도움

겨울에는 온천욕으로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을 치료하려는 이들이 많아진다.

실제로 관절연골에는 통증을 느끼는 신경이 없지만 뼈나 관절을 둘러 싸고 있는 인대와 근육 등의 염증에서 통증을 유발한다.

때문에 온천욕으로 체온이 높아지면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량이 증가해 혈약순환을 돕게 된다.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면 근육의 경직을 풀어줘 관절을 부드럽게 한다.

이 때 물 온도는 38~42도가 좋으며 처음에는 하루 1~2회 15분간, 이후에는 2~3회가 적당하다.

반면 퇴행성 관절염이 아닌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에는 높은 물의 온도가 염증반응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급하게 뜨거운 온천에 들어가는 삼가는 것이 좋다.

◆ 심혈관계 만성질환자는 온천욕 피해야

심혈관계 만성질환자와 노약자는 온천 이용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혈압이나 당뇨 등 심혈관계 질환자의 경우,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온도는 심혈관계를 갑자기 자극해 심장마비나 중풍을 유발할 수 있다.

따뜻하다고 느껴지는 온도에서의 탕욕이나 샤워 정도가 적절하다.

자율신경계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활발하게 작동하지 않는 노약자 역시, 온천욕으로 인해 신체 온도가 갑자기 변하면 심장이나 소화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이철우 바로병원 원장은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의 온천욕은 질환 치료효과는 물론 마음의 안정을 취하는데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권장한다"며 "아무리 좋은 온천수라 해도 질환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효능이 다르므로 자기 몸 상태에 맞는 온천욕을 즐기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