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인체 극미량 약물전달과정 직접 영상화 기술 개발

  •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도 전기 마련 기대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약물이나 대사 물질이 체내에서 흡수·대사되는 과정을 별도의 분자 표지화 과정 없이 극미량까지 직접 영상화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번 기술은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도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11일 교육과학기술부는 김광표 건국대 교수팀이 분자표지가 필요 없는 생체조직 분자영상질량분석용 매트릭스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새로운 매트릭스 제조기술은 기존 분자영상질량분석법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약물이 체내에 흡수된 후 치료부위에 정확히 전달되는지, 약물이 대사·배설되는 장기에 어떻게 분포하는지 등을 분자영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분자영상질량분석기법은 조직이나 장기에 분포하는 생체 분자들의 공간적 분포 뿐 아니라 농도 정보까지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생명현상 분석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다양한 물질의 분자들과 분석하려고 하는 분자들의 분자량 겹침이 발생하여 의약품이나 체내 대사물질 분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김 교수팀은 안정한 혼성매트릭스 제조기법을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두 종류의 매트릭스를 적절히 혼합함으로써 안정한 이온성 액체의 성질을 갖는 혼합 비율을 발견하여 매트릭스의 안정성을 높였다.

이러한 혼성매트릭스를 사용하여 기존의 질량분석법으로 분석이 어려운 낮은 분자량 영역에 분포하는 분자들의 조직 분포 패턴 영상화가 가능하게 됐다.

김 교수는 "체내 조직에 분포하는 분자들에 대한 영상을 얻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분자 표지에 의존하는 기존 분석법에 비해, 이번 기술은 약물 등이 체내에서 전달·흡수·대사·배설되는 과정을 분자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향후 신약후보물질의 개발과정을 앞당기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분석화학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Analyst 137호'(12월 21일자)에 소개되며, 연구의 중요성과 독창성을 인정받아 2012년 12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