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 간접흡연 노출 피해

  • 직장인 2명 중 1명 간접흡연 노출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비흡연자 직장인 2명 중 1명은 간접흡연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에서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담배연기를 마시고 있는 비흡연 여성도 상당수였다.

12일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19세 이상 직장인 남녀 비흡연자 2591명 중 44.3%가 '직장 내에서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를 매일 맡고 있다'고 답했다. 1시간 미만 담배연기를 마시는 비율은 35.3%였으며, 1시간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도 9%에 달했다.

특히 남성의 경우 절반이 넘는 53.9%가 직장 내 간접흡연을 겪고 있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연령별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19~29세 젊은 층의 간접흡연 노출률(남 65.1%·여 51.2%)이 가장 높았다.

비흡연자의 가정 내 간접흡연 피해도 심각한 수준이다.

19세 이상 남녀 비흡연자 4790명 중 1%가 가정 내에서 일상적으로 담배 연기를 맡고 있다고 답했다.

가정 내 간접흡연율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 여성의 가정 내 간접흡연율은 16.1%로 남성의 4.5%를 크게 웃돌았다.

비흡연자 중 2%는 가정에서도 1시간 넘게 간접 흡연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9~29세 여성 5명 중 1명은 원치않는 담배 연기를 마시고 있었다.

이에 보건당국은 2020년까지 직장 실내 간접흡연율을 남성과 여성 각각 5%, 2% 수준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가정 내에서도 남성 1%, 여성 5%를 목표로 금연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흡연율은 각각 47.3%, 6.8%로 조사됐다. 남성의 경우 전년(48.3%) 대비 1%p 낮아졌으나 여성은 1.5%p 높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