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중국산 장난감서 기준치 3만배 중금속이"..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조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1-08 12:3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359개 제품중 211개 제품서 프탈레이트·중금속 기준치 초과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환경부는 시중에 유통되는 어린이 장난감 등 4000개 어린이용품에 대해 유해물질 함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품목에서 다량의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제품은 어린이용품 중 생활용품, 장난감류, 학용품 등 6개 제품군 4000개 제품이다. 조사항목은 프탈레이트와 노닐페놀 등 15종 유해물질이다.

조사대상 제품중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이하 품공법)'등 국내 관련법 기준이 적용되는 제품은 3359개이다. 이중 211개 제품(6.3%)에서 프탈레이트 및 중금속의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탈레이트의 경우 플라스틱 장난감, 인형 등 프탈레이트 함유 가능성이 있는 1360개 제품을 대상으로 프탈레이트 물질 6종을 조사한 결과, 177개 제품이 기준을 초과했다. 프탈레이트 중 DINP는 42개 제품에서 0.01~41.63%로 검출됐다. DEHP는 95개 제품에서 0.01~41.03%, DBP는 9개 제품에서 0.01~0.8%, DIDP는 2개 제품에서 0.04~0.07%로 검출됐다.

중금속의 경우 모형완구 등 함유 가능성이 있는 803개 제품을 대상으로 납, 카드뮴, 니켈 3종을 조사한 결과 52개 제품에서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모형완구(장난감 실로폰) 등 27개 제품에서 납이 165.5~115,000㎎/㎏, 튜브, 책가방 등 13개 제품의 표면에서 카드뮴이 128~726㎎/㎏, 장난감 장신구 등 12개 제품에서 니켈이 0.57~14,814㎍/㎠/week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산 모형악기(심벌즈)에서는 니켈이 14,814.5㎍/㎠/week로 검출돼 기준(0.5)의 2만9628배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필통, 책가방, 노트 등 18개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와 중금속이 동시에 초과됐다.

염화에틸렌류(TCE, PCE)와 알코올류(벤질알코올, 페녹시에탄올)가 사용될 수 있는 세정제 및 세척제 200개 제품에서는 벤질알코올은 29개, 페녹시에탄올은 55개 제품에서 각각 기준 이하인 0.001~0.93%로 검출됐다.

짐볼에서는 프탈레이트인 DEHP가 최고 47.73%, 글러브에서는 DINP가 최고 7.1%, 열쇠고리에서는 DBP가 최고 2.4% 검출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품공법' 등 국내 관련법 기준을 적용받는 제품중 기준을 초과한 제품에 대해서는 지경부(기술표준원) 등 관계기관에 통보하고 관리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사각지대의 제품에 대해서는 위해성 평가를 실시할 것"이라며 "위해성이 확인될 경우 '환경보건법'의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사용제한 규정'에 반영하여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