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공사(사장 전대천)는 지난 2008년부터 최근 5년간 가스사고(739건)를 분석한 결과 일주일 중 화요일(120건), 시간대는 오후(252건), 지역은 경기도(135건), 장소는 주택(312건), 원인별로는 사용자 취급부주의(241건)사고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요일별로는 화요일(120건)에 이어 토요일이 115건으로 사고 발생률이 높았고, 일요일은 93건으로 가장 낮았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7시~12시(242건)와 오후 3시~18시(252건) 사고가 집중된 반면, 오후 19시~24시(167건)와 오전 1시~6시(78건)에는 사고 빈도가 낮았다. 이는 점심과 저녁 식사 준비를 위해 가스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사고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인구 비율이 높은 수도권 경기도(135건)와 서울(106건)에서 사고가 많았고, 전남(51건), 경남(49건) 순이었다.
장소별로는 주택 사고가 312건으로 전체 사고의 42% 이상을 차지해 가정에서의 가스 안전사용의 부주의함이 드러났으며, 이외 식당(124건), 차량(47건) 등에서도 사고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는 사용자취급부주의가 241건(32.6%).4%)으로 가장 높았으며, 타공사(19건, 2.5%), 제품불량(39건, 5.2%) 으로 인한 사고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대천 가스안전공사 사장은 "지난 5년간 발생한 주요 사고 유형을 심층 분석해 맞춤형 예방대책을 수립·시행하겠다"며 "올해도 가스사고 예방과 인명피해 감소를 최우선 경영목표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5년간 가스소비량은 2008년 3만1668톤에서 지난해 4만7508톤으로 연평균 10.7%씩 증가한 가운데 사고건수는 2008년 209건에서 2012년 125건으로 연 평균 12.1% 감소했다. 인명피해는 2008년 276명에서 2012년 179명으로 연평균 10.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