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 이후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계속 하락세다. 특히 장·차관급 인사의 낙마를 둘러싼 인사실패 논란이 커지면서 지지도가 급전직하(急轉直下)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와대 한 고위 관계자는 "임기 초의 낮은 지지율은 이후 국정운영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우려스럽다. 위기감을 갖고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4월 초 현재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40%대 초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1일 발표한 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45%, 한국갤럽이 지난달 25~28일 조사해 발표한 지지율은 41%다. 이는 박 대통령의 대선 득표율 51.6%보다 10%포인트나 떨어진 수치이고, 역대 대통령들의 집권 초반 지지율 가운데서도 가장 낮다.
역대 대통령들의 취임 첫 해 3월 지지율은 김영삼·김대중 71%, 노무현 60%, 이명박 52% 등이었다.
청와대는 국민·언론 및 정치권과의 소통 행보를 강화하는 등 이달 중 지지율 반등 계기를 만들어 3개월 내 지지율을 대선 득표율 수준까지는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박 대통령은 이번주 내 업무보고를 마무리하는 대로 민생과 소통에 방점을 찍고 대외 행보에 속도를 낼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대통령은 향후 현장 중심으로 민생을 챙기며 대선공약 이행 점검에 집중할 것"이라며 "조만간 지역 순회방문 계획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부처별 업무보고가 마무리되고 정부 인선이 완료된 이후 박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기자회견을 하고 언론을 통해 국민에게 직접 국정운영과 관련한 구상을 설명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는 불통 논란을 빚고 있는 국회·언론과의 소통도 강화하고 나섰다.
이정현 정무수석은 지난 3일 국회 의원회관을 찾아 새누리당 초선의원들의 모임 '초정회'에 참석해 각종 현안을 설명하고 지원을 요청했다.
조원동 경제수석도 지난 1일 나성린 정책위의장, 장윤석 예결특위 위원장 등과 당정간 의견 조율을 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추경예산, 부동산종합대책, 외교안보 문제 등 각종 현안에 대해서도 해당 수석이 직접 춘추관 기자실을 찾아 설명을 하는 등 정책 홍보에도 주력하고 있다. 개념 모호성 논란이 일고 있는 '창조경제'에 대한 정책 홍보방안도 적극 강구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박근혜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할 핵심 정책들이 인사 난맥과 북한의 도발위협 등에 묻혀 제대로 알려질 기회가 없었다는 내부 분석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청와대 일각에서는 정책 시행의 효과가 단기간에 나타나기는 힘들어 지지율 반등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자조 섞인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이명박 정부의 대규모 국책사업인 4대강 사업에 대한 철저한 검증 등 사정카드를 꺼내 국면을 전환하자는 주장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도 지난 4일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업무보고에서 "대형개발 사업이나 환경보존 사업의 경우 전문가들과 국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서 막대한 국가예산이 들어가는 일은 철저하게 검증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어 향후 4대강 사업 전방위 조사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4대강 사업 입찰 담합 조사에 나선 감사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늦어도 6월 전에는 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일단 인위적인 사정국면 조성에는 부담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단기적인 깜짝쇼는 없다"고 부인하고 나섰지만 지지율 반등이 여의치 않을 경우 대대적 사정정국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