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1101개 기업을 대상으로 ‘대체휴일제 도입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70.8%가 ‘찬성’이라고 답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96.7%), 업종별로는 ‘금융/보험’(94.4%)에서 찬성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중소기업’(68.3%)과 ‘자동차/운수’(53.9%), ‘기계/철강’(55.9%), ‘제조’(62.3%)업의 찬성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찬성하는 이유로는 ‘직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서’(66.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직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어서’(56.7%), ‘업무 분위기가 개선될 수 있어서’(30.4%), ‘과도한 근로시간을 줄여줄 수 있어서’(29.6%), ‘노동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어서’(21.8%), ‘직원들이 원하고 있어서’(21.8%)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반대하는 기업(321개사)은 그 이유로 ‘업무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서’(64.5%, 복수응답)를 1순위로 선택했다. 다음으로 ‘현실성이 떨어지는 제도라서’(34.9%), ‘인건비가 상승할 수 있어서’(27.7%), ‘휴일 근무 수당이 증가할 수 있어서’(24.6%), ‘근로자 간 양극화가 우려되어서’(19.9%), ‘직원들의 근무태만이 우려되어서’(19.6%) 등의 이유를 들었다.
실제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시행하면 바로 도입할 계획’이라는 응답이 64.4%로 가장 많았다. ‘정부에서 시행하더라도 최대한 미룰 계획’은 31.1%, ‘정부에서 시행 전 미리 도입할 계획’은 4.5%였다.
제도를 자사에 도입하면, 기업 경쟁력에는 67%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 73.4%는 직원들의 근무의욕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