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AI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중국 AI 위기대응 전담반’을 설치해 일일 상황을 점검하고, 질병관리본부와 중국AI 공동대응체계· 핫라인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권재한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9일 "최근 주변국에서 신종 조류인플루엔자에 이어 구제역이 발생하고 5월은 동남아시아 여름 철새가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위험시기인 점을 고려해 AI· 구제역 재발방지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우선 공항만 출·입국장 검역인력을 현재 32명에서 52명으로 확대하고 AI가 발생한 중국 노선에 검역탐지견을 집중 배치하기로 했다. AI 발생국을 방문한 축산관계자는 공·항만에서 도착 즉시 소독하도록 하고 귀국 후 14일간 정기로 이상 유무를 확인할 방침이다.
국내 방역대책으로는 축산농가, 철새 등에서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상시예찰을 확대하고 351개 전통시장의 토종닭 판매시설 소독을 기존 주 1회에서 주 2회로 늘리기로 했다. 국내 농가에서 AI가 발병하면 검출 농가의 닭·오리 등 가금류를 살처분하고 발병지 반경 10㎞까지 방역대를 설치할 계획이다.
국내에 들어온 철새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되면 반경 10㎞까지 방역대를 설치하고 방역대 안 농가를 대상으로 AI 발병 여부를 검사하기로 했다.
권재한 국장은 "2011년 4월21일 경북 영천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2년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아 구제역 청정국의 최소요건이 갖춰진 만큼 8월 세계동물보건기구에 백신접종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신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