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정부가 생각하는 지원 방향과 규모와는 온도차가 커 제약산업 발전을 위한 업계와 정부의 엇박자가 계속될 지 모른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7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에 의하면 국내 제약업계의 사장 규모는 세계 14위권 수준이다.
정부가 제약산업을 대표적인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세계 7대 제약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현실은 결코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실제로 세계 50대 제약기업 명단에는 국내 업체들의 이름이 전무하다.
제약강국 도약을 위한 필수과제인 블록버스터 신약도 마찬가지다. 해외수출 규모는 2조원 가량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인도 등 신흥국들은 급부상하면서 우리나라 제약산업을 위협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내수·제네릭(복제약) 위주의 사업모델이 이어지는 한 국내 제약산업은 세계 20위권으로 추락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에 업계는 글로벌 제약산업 자체가 연구개발(R&D) 비용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쪽으로 경영전략을 수정했다.
국가 연구개발(R&D) 지원의 전략적 확대와 투자자금 공급 채널 확충,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전문인력 유치와 양성 등을 정부에 요구한 것이다.
‘정부지원- R&D 및 투자 확대 - 성장 및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정책됐을 때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쟁력을 제곻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달 초에는 한국제약협회 등 제약 관련 5대 단체 수장들이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나 “신약개발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지원, 해외 우수한 글로벌제약사 및 벤처기업과의 인수합병(M&A) 활성화 등” 필요성을 밝혔다.
이에 정부는 지난 21일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총 60억 규모의 R&D 자금을 지원해, 국제 공동연구 및 해외기술 유치를 유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혁신형 제약기업 43곳을 대상으로 국제협력 및 해외연구소 등과 교류할 때 드는 파견비와 기술교류를 위한 연구비 등도 지원한다.
해외 파트너사를 찾기 힘든 제약사에 접점을 이어주고, 해외전문인력 풀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키로 했다.
하지만 장기간·천문학적인 투자가 요구되는 R&D 개발을 위한 지원을 바라는 업계와는 큰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한 국내 제약사 임원은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적 방향 논의를 위해서는 각 업체들의 자구노력이 가장 먼저 이뤄져야 한고 이를 보조해 줄 수 있는 기술·자본·사람·수출·인프라 등 전방위적인 지원도 요구된다"며 "업계와 정부가 생각하는 지원의 규모와 성격이 상이하다 보니 계속해서 엇박자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