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중국 수출증가율이 1%로 내려앉은 것을 비롯해 산업생산·제조업경기 등 지표가 예상 밖으로 저조하면서 중국 경제성장의 추가 둔화가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각 기관에서는 5월 경제지표 발표 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속속 인하했다. ANZ은행이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의 7.8%에서 7.6%로, 바클레이즈 캐피탈이 기존 7.9%에서 7.4%로 하향 조정했다.
이러한 가운데 5월 물가가 2%대 초반을 기록하는 등 중국 당국의 인플레이션 우려가 수그러들면서 중국 당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국제금융전문가 자오칭밍(趙慶明)은 "올해 물가 압력이 지난해보다 다소 크지만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다"라며 "금리인하는 중국 당국의 경기부양 의지로 해석돼 기업과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기업의 생산비용도 줄일 수 있는 데다가, 핫머니 유입 억제에도 효과가 있다"고 금리인하 가능성을 제기했다.
류리강(劉利剛) ANZ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중국 경제지표가 예상치를 밑돌고 인플레 우려도 수그러듦과 동시에 신용대출 증가 속도가 주춤하고 있는 것은 곧 중국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경기 추가 악화를 막기 위해 중국이 이른 시일 내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심지어 하이퉁 증권은 중국이 수개월 내 2~3차례 지급준비율 인하와 한 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하며 경기부양에 속도를 낼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최근 중국 주택가격이 여전히 치솟고 있는 데다가 그림자금융 리스크, 지방정부 부채 악화, 기업의 과잉생산 등 때문에 중국 당국이 성급히 금리를 인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신중론을 펼치며 금리인하보다는 구조적 감세, 소득분배 개혁 등 경제개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국가정보센터 판젠핑(范劍平)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금리인하의 선결조건은 집값 상승 억제조치"라며 "금리인하로 불어난 시중 유동성이 집값 인상을 부추겨 부동산 버블을 초래, 오히려 실물경제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