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과 시 주석 모두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이다. 첫 만남인 만큼 진지하면서도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은 단독회담에서는 한·중관계 일반과 북핵을 포함한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를, 확대회담에서는 양국간 경제 및 사회ㆍ문화분야에서의 협력과 지역·국제무대에서의 협력방안에 관해 집중 협의했다.
당초 현지시간 오후 3시45분(우리나라 시간 오후 4시45분)부터 4시30분까지 예정됐던 두 정상간 단독회담은 시간을 넘겨 진행됐다. 이 때문에 단독회담 직후 예정됐던 확대 정상회담은 오후 5시를 넘겨 시작됐다.
북한의 핵문제를 비롯한 민감한 안보현안 등을 놓고 두 정상이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시 주석이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 및 안정 유지,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위해 양국간 전략적 소통과 협조를 강화키로 약속함에 따라 한·중 공조에 힘이 실리게 됐다.
특히 박 대통령의 대북 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한 시 주석의 지지 표명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동북아지역 논의의 장 주도권을 우리가 쥐게 됐다는 분석이다.
두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수교 21주년을 맞는 양국관계 발전의 4대 기본원칙으로 상호이해 및 신뢰 제고, 미래지향적 호혜협력 강화, 평등원칙과 국제규범의 존중, 지역 및 국제사회의 평화 안정과 공동번영 및 인류복지 증진 기여 등에 합의했다.
최근 논란이 된 탈북청소년의 북송문제와 관련, 이들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데도 원칙적인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안보와 경제면에서 서로가 윈·윈하면서 양국의 미래지향적인 발전관계의 굳건한 토대를 쌓아올리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