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8/29/20130829000018_0.jpg)
2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최근 5년(2008~2012)간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바이러스 수막염이 크게 유행했던 2008년 이후 바이러스 수막염 환자 수가 연간 1만명을 웃도는 수준으로 감소했다.
2008년에는 4만8526명이 진료를 받았는데 2009년 1만2449명, 2010년 1만1395명, 2011년 1만3189명, 2012년1만6472명의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해 기준 남성 환자는 8809명(53.5%)으로 여성 환자 보다 1.15배 많았다.
연령별로 0~9세가 8976명으로 54.5% 였다. 이어 10~19세가 20.2%, 20세 미만의 소아·아동 및 청소년이 전체 환자의 74.7%를 차지했다.
바이러스 수막염이 크게 유행했던 2008년에는 0~9세의 점유율이 72.7%나 됐다.
초기 감기증상과 비슷한 바이러스 수막염은 바이러스가 뇌척수액 공간으로 침투해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로 80% 이상이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3~7, 늦봄부터 초가을까지 유행하는데 5~8월에 집중된다.
바이러스는 침·가랠콧물 등과 같은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에 직접 접촉하거나 감염된 사람과의 신체적 접촉 후, 오염된 공용 물품을 사용한 후에 자신의 코나 입을 만져도 감염될 수 있다. 기저귀를 떼지 않은 영아들은 흔히 대변을 통해 감염되기도 한다.
초기엔 발열·두통·구역질·후두부 경직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고 열과 두통, 구토 증세가 동반될 경우 이를 완화시키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심평원 측은 손과 발을 자주 씻고 외출 후에는 양치질을 해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며 “물은 끓여 마시고 음식은 익혀 먹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이들이 많이 모여 있는 보육원이나 유치원, 학교 등에서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교육을 강화하고 세정제를 이용해 공용 물품이나 실내를 자주 청소할 것을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