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0/20/20131020000208_0.jpg)
20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월세시장 분석과 정책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는 저소득층과 1·2인 가구가 각각 69.9%, 58%로 높게 조사됐다.
월세주택은 방 1·2개(73%) 규모와 단독·연립주택(65%) 비중이 높고 아파트 비중(27.5%)은 낮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최저주거수준 미달 주택이 47%로 절대적 주거빈곤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월세가격은 6개월 연속 하락했으나 월세이율은 연 9.84%로 이자율(2.6%)보다 4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평균 투자수익률은 주택(4.6%)이 주식(-4.2%)보다 높고 안정적이나 상업용 부동산(오피스 5.4%·매장용 5.3%)보다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9월 말 기준 전국 평균 월세보증금과 월세가격은 각각 2094만원과 44만원(무보증부월세로 전환 시 평균 완전월세액 60만원)으로 조사됐다. 연간 주거비용은 예금금리 기준 전세(370만원)가 월세(951만원)보다 유리했다.
박기정 연구위원은 "저금리 기조와 매매가격 안정세가 유지되면 임대인의 월세전환 선호로 월세가격이 계속 하락하겠지만 전세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 월세수요 증가와 월세가격 하락 등으로 월세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감정원은 월세제도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로 △모기지보험 등 임대시장 선진화 △서민의 주거안정화(임대료 보증제도·주택바우처제도 확대) △민간 임대사업 지원(주택임대관리업 제도 추진) △월세시장 통계 구축(신규통계 개발·월세지수 확대) 등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