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햔지 시간) 미국과 6자회담 재개 협의를 위해 방미중인 조 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나 "최근 6자회담 관련국 사이에 외교적 협의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본부장은 "북한 핵문제는 범세계적인 비확산체제에 가장 중대한 도전을 던지고 있는 문제이지만 대한민국 입장에서 보면 북한 핵문제는 북한이 던지는 도전 중의 하나"라며 "그래서 우리가 주인이고 우리가 중심적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생각이고 국민들의 기대"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의 고위당국자가 북핵 문제에 대해 '주인의식'을 강조하며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드문 경우다.
미·중 구도로 치우쳐져 있는 6자회담 재개문제를 정부가 주도적으로 끌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보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한국이 북핵 문제의 직접적인 당사국임에도 불구하고 대북협상이 미국과의 동맹이나 중국의 중재에 수동적으로 기대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우리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조 본부장의 '주인정신' 발언은 유럽을 순방중인 박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 가능성 발언과 맞물려 우리 정부가 대북정책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정부 관계자는 "(북한과의) 대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만큼 (대화)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라면서도 "정부가 (대북정책에) 큰 프레임을 바꾼다는 것이라든가 하는 해석에 대해서는 말할 것이 없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다른 정부 관계자도 "대북정책과 관련해서 우리가 정책의 틀을 바꾼다는 식의 논의가 별도로 있었다는 것은 아니다"며 선을 그었다.
조 본부장은 이날 6자회담 재개 조건에 대한 정부 입장도 명확히 했다.
그는 "최근 (북한과의) 대화에 대한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대화가 반드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기할 수 있는 의미있는 대화가 돼야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으며 여기에는 미국도 같은 생각"이라면서 "6자회담이 비핵화로 갈 수 있을지 없을지 하는 판단을 회담이 열리기 전에 내려야 하고, 여기에는 한국과 미국, 중국이 같이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조 본부장은 6자회담 재개 가능성에 대해 "6자회담이 2003년 처음 시작할 때에는 북한의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나온 모임이었다"며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6자회담은 찬성하지만 6자회담 재개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비핵화가 목적인 만큼 어떤 회담이 되느냐에 따라 우리 정부가 적극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