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매각 대상 국가가 러시아라는 점은, 상선과 해양플랜트 부문 독자 기술과 대규모 조선소 운영 노하우는 물론 전투함과 잠수함 등 방위산업 생산 기반과 기술도 헐값에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와 더불어 종업원의 고용 불안도 커지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 일행은 이날 오후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겸한 상경집회를 갖고 “대우조선해양의 해외매각을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해외매각 반대를 위한 현장 투쟁을 시작 했으며, 지난 16~17일 양일간 매각관련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실시해 전체 조합원 7142명 인원중 6580명이 투표해 6097명이 찬성표를 던져 92.66%의 찬성률로 쟁의행위를 가결 시켰다.
이에 노조는 지난 18일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가졌으며, 이날은 서울로 직접 올라와 매각을 진행하고 있는 정부에게 입장을 알리기 위해 집회를 열게 됐다.
성만호 노조위원장은 이날 “노조는 매각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전 구성원의 고용과 조선산업의 기술 유출 문제가 발생되는 해외매각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대우조선해양 매각건이 수면위에서 다뤄지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보유하고 있던 회사 지분이 금융위원회로 이관되면서 17.15%중 5.00% 지분이 블록딜로 매각됐으며, 나머지 지분을 인수할 새주인을 찾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11월 13일 한-러 정상회담 이후 대우조선해양 해외 매각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으며, 지난 11월 27일 새누리당 김정훈 정무위원장이 초청한 러시아 금융위원장이 한국정부와 러시아 정부가 지분인수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공식 발표 했다.
노조를 비롯한 거제 지역사회가 술렁이자 정부는 일부 언론 보도를 통해 “대우조선과 같은 중요한 방산업체를 외국 기업에 매각할 생각은 전혀 없다”라는 입장을 전했다. 이에 성 위원장은 “정부의 한 관계자가 밝힌 내용은 진실에 대한 구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명확한 입장도 없다”며 “박근혜 정부는 정확한 입장과 정책에 대하야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해외매각 반대를 포함해 자신들이 제시한 5대 매각 조건을 정부가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즉, 과다한 인수비용이 발생되는 ‘일괄 매각 형태’는 대우조선해양의 내부 성장 재원을 소진시켜 결국 재부실을 초래할 것이며, 투기자본에 매각이 된다면 매각 대금 조기 회수를 위해 기업자산의 유출로 기업 부실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사자 참여 보장과 국민기업 실현으로 매각 과정에서 내부 임직원들이 참여해 투명한 매각을 이뤄내고 국민들의 혈세로 회생한 회사에 대한 책임을 지는 소유구조에 참여함으로써 진정 회사의 주인으로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성 위원장은 “노조는 경상남도, 거제시, 언론, 시의원, 도의원, 지역경제 단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지난 2011년 범시민 대책위를 구성해 매각 투쟁에 함께 할 것을 이미 결의해둔 상황”이라며, “만약 일방적인 해외 매각을 추진한다면 거제시민과 대우조선해양 전 구성원의 큰 저항에 부딪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부청사에서 집회를 마친 노조 일행은 여의도 산업은행으로 이동해 집회를 이어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