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은 30일 채권단의 추가 자금 지원 불발로 법정관리를 결정했다. 이에 건설 중이거나 발주 예정인 사업장이 피해를 입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쌍용건설은 현재 말레이시아 랑카위에 '2015 아세안 서밋 회의장' 등 동남아시아 각국 정부와 공기업이 발주한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쌍용건설 측은 "법정관리에 돌입하더라도 국내ㆍ외 공사가 당장 중단되지는 않는다"며 "8개국에서 진행 중인 총 3조원 규모(27억5000만 달러)의 18개 프로젝트는 이번 법정관리 신청에도 차질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국내도 내년 1∼2월 입주 예정인 5개 현장(3000가구) 등 내년 초·중반 준공 물량이 많아 계약 취소 등 극단적인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1400여개 협렵업체들이 공사 대금 미납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관측이다. 쌍용건설이 이달 말까지 1400여개 협력업체에 내줘야 할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B2B대출)은 600억원에 달한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쌍용건설의 규모가 큰 만큼 회생에 실패할 경우 부실의 파장이 금융권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며 "다른 국내 대형 건설업체의 신인도 하락과 해외건설 시장에서의 위상 하락 등 악영향은 다소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