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국산 농식품의 품질 우수성에 대한 홍보ㆍ판촉활동 강화, 해외직구 상품 중 국내 생산ㆍ가공이 가능한 품목의 국산화율을 높이는 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농협경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 이용금액은 전년 6589억원(6억4200만 달러)에 비해 62% 증가한 1조600억원(10억4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같은 추세는 국내의 낮은 소비시장 개방도와 정부의 소비시장 경쟁촉진정책이 어우러지면서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국내 소비자가 해외직구로 거래하는 국가는 미국이 7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중국 11%, 독일 4% 순으로 집계됐다.
수입의존도(국내총생산/수입비중)는 2012년 기준 49.6%로 미국 14.0%, 일본 12.3%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반면 소비재 비중은 9.8%로 미국 23.7%, 일본 31.6%에 비해 매우 낮았다.
김진용 농협경제연구소 부연구위원은 "정부 입장에서 소비재시장 경쟁촉진을 위해 해외직구를 활성화함으로써 소비자부담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며 "해외직구가 증가하면서 취약분야인 농식품구매도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지난해 국내의 해외직구 비중 가운데 건강식품은 34.5%로 의류(41.5%), 패션잡화(40.8%)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식품 직구비중도 14.0%로 전자제품 11.0%보다 높았다.
해외직구 농식품 품목은 견과류·씨앗·곡물, 오가닉푸드 등의 품목으로 다양해질 전망이다. 농산물 판로 확보, 지역일자리 창출, 식량주권 확보 차원 등에서 국내 농식품 발전을 위한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게 농협경제연구소의 주장이다.
농협 등 생산자단체는 국산 가공농식품의 우수성을 알리는 등 판촉 활동을 강화하고, 인기 해외직구 품목을 중심으로 국산화 시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진용 부연구위원은 "정부는 목록 제출만으로 수입신고를 갈음하는 ‘목록통관’의 대상을 식·의약품 등 일부품목을 제외한 전 품목으로 확대하고, 반품할 때 관세 환급 절차 간소화 등 소비자 구제제도 또한 강화해야 한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해 사기 해외구매 사이트 등에 대한 포털 서비스의 관리 책임도 법제화하는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특히 그는 "국산화에 성공한 제품은 한류인기가 치솟고 있는 중국 등에 수출전략 상품으로 공략할 것"을 당부했다.
지난해 중국의 해외직구 이용금액은 13조원(747억 위안)에 달한다. 구입 품목은 화장품(22%), 분유(18%), 가방(12.5%), 신발·모자(10.2%), 의류(9.1%), 전자제품(7.6%), 고급기계(5.2%), 식품(3.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설 농협경제연구소 컨설팅실장은 "해외직구 증가는 우리 농식품을 해외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며 "특히 한류붐으로 한국산 식품에 대한 인기가 높고 규모가 큰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