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은 “학생인솔과 통제가 교사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교원자격증소지자 및 퇴직 교원 등을 활용한 인솔자 확대는 바람직하지만 수학여행 안전지도사 제도를 새롭게 도입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와 갈등요소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며 “오히려 청년실업 해소 및 학급당 학생 수 감소를 위해 신규교사 충원 방식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총은 세월호 참사 이후 수학여행 존폐논란에 대해 개선 후 유지라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그간 교총 등 교육계 안팎에서 제기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담기 위해 노력한 점은 인정지만 세월호 참사로 촉발된 안전에 대한 불안감 해소에는 부족한 점이 있고 교육적 효과 및 안전성 확보보다 관광산업증진 및 직업창출 효과에 치우진 개선방안이 아니냐는 현장의 평가가 있다고 설명했다.
교총은 또 “이번 개선방안이 현장의견을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이기보다 기존의 하향식 방식의 틀에서 못 벗어났다는 평가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며 “관광업체 중심의 방안을 갖고 7월부터 재기되는 수학여행이 안전성과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 세밀히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교총은 수학여행 안전대책 중 전세버스 안전 확보를 위해 업체가 차량 안전 정보를 학교에 제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사실여부를 학교가 파악할 전문성이 없으며 수학여행 기간 직전 숙박시설 범부처 합동 안전점검은 매우 바람직하지만 보다 실효적이기 위해서는 형식적인 두 번의 점검보다 수시점검 체제를 통해 실효성을 담보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교총은 “소규모·테마여행 활성화는 바람직하지만 소규모 수학여행이 확산, 현실화되지 못하는 원인인 비용증가, 인솔교사가 적음에 따른 안전 소홀, 숙소 및 교통편 선정 등 준비과정의 어려움 및 교사 업무 증가, 학사일정 조정의 어려움 및 면학분위기 저해 등에 대한 어려움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비록 교육부가 시도교육청 차원의 수학여행 지원단을 구성·운영한다고는 하나, 그 실효성여하에 따라 효과성도 극명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학교현장 여건 및 어려움 해소가 최우선 관건임을 유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